fnctId=bbs,fnctNo=1107
RSS
수돗물은 생수, 정수기물, 약수 등 먹는 물 중에서 가장 안전합니다. | |
---|---|
|
|
우리가 흔히 마시는 물은 수돗물, 생수, 정수기물, 약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수질검사 결과를 보면 수돗물이 가장 안전합니다.
[세균] 수돗물은 잔류염소가 함유되어 세균이 나올 염려가 없으나, 정수기 등은 기기 유통과정, 보관 등 관리의 문제점으로 세균이 함유될 가능성이 대단히 높고 실제 검사 결과에서도 세균 검출 빈도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네랄]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 인체에 유익한 광물질은 오히려 생수 약수보다 많거나 비슷한 수준이며, 정수기 중 역삼투압 방식은 오히려 이들 물질을 제거하여 증류수에 가까운 물을 만듭니다. [탁질, 유기물질] 이물질 함유량은 생수, 약수, 정수기물과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고 오히려 정수기물은 관리 부주의로 필터를 잘못 관리하여 더 많은 탁질과 유기물 등이 함유될 수 있습니다. [유해물질] 중금속, 농약 화학물질 등은 수돗물에서 전혀 검출되고 있지 않습니다. [산성과 알칼리성] 수돗물은 중성에 가까우나 생수, 약수, 정수기물은 주로 산성에 가까워 장기간 음용할 경우 뇌졸증 등 인체에 해롭다는 연구보고가 있습니다. [수돗물의 염소냄새] 약품 냄새를 싫어하는 경우가 있으나 함유된 염소는 건강에 해롭지 않고 오히려 안전함을 의미하며 정수장에서 정수된 수질보다 수도꼭지에서의 수질 저하는 주로 가정 급수관, 물탱크 등 급수시설관리 부주의에 의한 것으로 수요자가 관리만 잘하면 수돗물을 깨끗하게 드실 수 있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