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사업
1970 - 방향 제시 (박정희 대통령의 제창) |
"우리 스스로가 우리 마을은 우리 손으로 가꾸어 나간다는 자조, 자립을 불러 일으켜 땀 흘려 일한다면 모든 마을이 멀지 않아 잘 살고 아담한 마을로 그 모습이 바꾸어지리라고 확신한다. 이 운동을 새마을 가꾸기 운동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
---|---|
1971 - 실험 사업 (새마을 정신의 배태) |
전국 33,267 행정리 동에서 균일 추진 (행정리 동당 시멘트 355포대씩 지원 10대 가구기 예시 사업을 중점 추진 마을 진입로, 소하천 , 소유지의 정비, 공동 우물, 공동 빨래터, 퇴비장 설치, 마을 식수 41억원 지원-122억 성과 |
1972 - 기초 점화 (새마을 정신의 점화 확대) |
전국 34,665 마을 줄 22,708마을 참여(지원 마을, 16,600, 자진 참여 6,108) 지원 마을 16,100에 기본 자재 균일 지원시멘트 50포, 철근 1톤) 새마을 가꾸기에 중점을 두어 정신계발 촉진(안길, 농로, 간이 급수, 소하천 등) 33억 지원 - 316억원 성과 |
1973 - 기반 확립 (자율 실천의 기반 구축) |
전국 34,665개 모든 마을이 참여(자재 지원 24,535마을, 일반 지도 10,129마을 모든 마을을 발전 수준에 따라 계층화(기초 18,415 자조 13,943 자립 2,307)새마을 사업을 소득에 직결시켜 발전기본 사업 4. 지원 사업 9, 소득 사업 91215억 지원 - 984억원 성과 |
새마을운동의 기반 조성(1971 ~ 1973)
-
새마을 기본사업
- 농촌 기간도로 : 마을 안길, 농로, 교량 등
- 농촌 기본 위생 : 간이급수, 공동 우물, 하수구, 공중목욕탕 등
- 농촌 협동 기반(공동 복지) : 복지시설, 소득 증대 시설, 새마을 식수
- 농촌 기초 환경(주거 주변) : 지붕개량, 소화전 개보수, 주택 환경 개선(축사, 퇴비장, 변소 등)
-
새마을 지원사업
- 국토 가꾸기 : 국도변 가꾸기, 소도읍 가꾸기, 관광지 가꾸기
- 소하천 가꾸기 : 정부 지원사업, 정부 비 지원 사업, 농어촌 전화, 마을 통신, 메탄가스
-
새마을 생산사업
- 집단 재배(통일벼, 보리, 콩), 기계 게 조직 운영, 퇴비 증산, 벼 병충해 방지, 영·농 협동, 새마을 목초 가꾸기, 농촌 일손 돕기
-
새마을 생활화 운동
- 새마을 저축, 가족 계획사업, 이동 진료, 가정의례 준칙 지키기, 가난한 이웃돕기, 탁아소 설치, 마을 금고, 대학생 봉사, 지역 사회 학교 활동

1970년 4월 22일 고 박정희 대통령의 제창으로 시작된 새마을운동은 '우리 마을을 우리 힘으로 새롭게 바꾸어 보자'는 운동으로 농촌에서 불붙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초가집 없애기 (지붕개량), 블록 담장으로 바꾸기, 마을 안길 넓히고 포장하기, 다리 놓기, 농로 넓히기, 공동빨래터 설치 등의 기초적인 환경개선사업을 하였다.
이 사업의 성과로 마들이 아담하고 쾌적한 모습으로 달라지자 주민들은 이에 그치지 않고 마을회관 건립 상수도 설치, 소하천 정비, 복합영농 추천, 축산, 특용작물 재배 등를 통해 70년대 중반에는 농가소득이 도시 근로자 소득수준으로 향상됨으로써 농촌주민에게 '하면 된다'는 의식과 성취동기를 부여하여 생기가 넘치는 농촌이 조성되었다.
이처럼 새마을운동이 농촌에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자 1974년부터는 도시로 퍼져나갔다. 도시지역은 물론 직장과 공장 그리고 학교까지도 새마을 깃발이 달리고 분야별로 발전을 꾀하기 위한 일거리를 만들어 실천에 옮겨 나갔다. 도시지역에서는 반상회가 활성화되어 이웃 알기와 새마을대청소(내 집 앞 내가 쓸기, 저축하기와 거리질서 캠페인 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직장과 공장에서는 건전한 직장분위기 조성운동으로 시작되어 새마을분임조활동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불자절약, 노사관계 정립에 중점을 두었으며, 학교에서는 인사 잘하기, 부모 공경하기 등 예절교육을 실시해 나갔다. 70년대 새마을운동은 이와 같이 우리나라 방방곡곡에 메아리 치면서 전국적인 범국민 운동으로 자리 잡게 됨으로써 조국을 근대화 시키는 뒷받침 역할을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