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의 개념
- 주거환경의 노후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약·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도시재생의 필요성

- Ⅰ. 산업구조의 변화 → 구산업·주거지 황폐화, 실업증가 → 쇠퇴지역 재생 필요성 부각
- Ⅱ. 경제의 지구화 → 고급산업화 두뇌 유치, 경쟁 심화 → 사회·문화·생활 인프라의 ‘질’ 이 더욱중요
- Ⅲ. 소득계층 및 생활패턴 분화 → 도시의 파편화, 저소득층 주거지 분리 → 사회통합적 도시재생의 이슈화
- Ⅳ. 어반 거버너스 → 국가·시장·시민사회, 관계번화 → 민·관 협력체제에 의한 재생
도시재생의 목표(효과)
- Ⅰ. 원도심 활성화 및 노후주거지 정비 → 주민 삶의 질 개선
- Ⅱ. 상업·문화·업무공간 형성 → 일자리 창출
- Ⅲ. 산업구조 다별화 및 산업유치를 위한 혁신공간 조성 → 新 성장동력 확보

- 도시재생
- 환경, 물리·환경
- 경제, 산업·문화
- 사회, 생활커뮤니티
- 도시재생사업 : 환경+사회+경제
- 재정비촉진사업 : 환경+사회
- 재개발·재건축사업 :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