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개요
사회경제적 성장에 의한 생활환경 및 면역체계의 변화 등으로 증가하고 있는 아토피·천식 질환에 대한 올바른 예방관리 및 치료법을 제공하고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환자 및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 기대
사업대상
아토피·천식 질환자 및 부모, 지역주민
주요사업내용
- 지역사회 아토피·천식질환 예방을 위한 홍보 및 캠페인
- 언론매체 활용 예방 및 관리 홍보
- 예방수칙, 자가관리 등 홍보물 제작 배부
- 아토피질환의 예방 및 관리방법 실천을 위한 교육
- 아토피 · 천식 예방관리교실 운영
- 아토피 · 천식 예방 순회보건교육
- 지역사회 순회 주민건강강좌
- 아토피·천식 질환자 등록관리
- 아토피·천식 안심학교 운영
- 안심학교(유치원) 아토피·천식질환 유병률 조사
- 학생, 학부모 및 (보건)교사 대상 아토피 · 천식 예방관리교육 실시
- 천식응급키트 지원
- 보습제 및 교육자료 배부
- 알레르기 확진검사비 지원
- 아토피피부염·천식 진단자 의료비 지원
- 지원대상 : 관내 만 18세 이하(1997.1.1.이후 출생자) 아토피피부염(L20), 천식(J45) 진단자 중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자
- 의료급여 수급권자 1,2종
- 건강보험가입자 하위 50%
- · 직장가입자 89,000원/지역가입자 88,000원(2016년 1월 이후 보험료 기준)
- 다문화 가족 자녀
- 셋째자녀 이상 가구의 자녀
- 지원내용 : 알레르기 확진 검사비(채혈검사, 폐기능 검사 등) 및 의료비
(진료비, 약제비 : 한방 제외)중 본인부담금 최대 300,000원/년(예산 소진시까지) -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환아에게 2개/1인 보습제 지원(상병코드가 적힌 진단서 또는 진료내역서 구비하여 방문접수,단 저소득층은 의료비,보습제 2중 지원)
- 구비서류
- 진단명 및 상병코드가 기재된 소견서 또는 진료확인서
- 의료비 영수증 원본(영수증마다 상병코드 기재)
- 통장사본 1부
- 주민등록등본 1부
- 건강보험증(의료급여증) 사본 1부
- 건강보험료 납부 영수증 1부(지로영수증 또는 통장자동이체 내역 가능)
- 지원절차 : 방문접수 및 등록(매월 말일 신청마감)→지원신청서 작성→지급(익월)
- 접수방법 : 구비서류 지참하여 방문접수
- 접수 및 문의
- 남구보건소 모자건강팀(1층) 270-4208
- 북구보건소 모자보건실(1층) 270-4254
- 지원대상 : 관내 만 18세 이하(1997.1.1.이후 출생자) 아토피피부염(L20), 천식(J45) 진단자 중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자
아토피피부염이란
만성 알레르기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심한 가려움증과 습진성 발진이 특징적인 증상

원인 및 악화요인
- 아토피피부염은 아래와 같이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발생합니다.
- 유전적 요인
- 환경적 요인
- 알레르기 반응
- 피부장벽이상
- 가족 중에 천식, 비염 등 다른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 아토피피부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식품이나 집먼지진드기 등과 같은 알레르겐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 급격한 실내 온도와 습도 변화, 땀이나 침, 꼭 끼거나 거친 재질의 옷
- 피부를 문지르거나 긁는 것, 스트레스, 세균 감염 등도 아토피피부염을 악화시킵니다.
- 아토피피부염을 가진 영유아는 천식이나 알레르기비염이 잘 생깁니다.

증상
- 급성기에는 붉은 반점이 발생하고, 가려워서 긁으면 피부가 갈라지게 됩니다.
- 이차적으로 세균에 감염되면 진물이 흐릅니다.
- 만성으로 진행하면 피부가 점점 건조해지면서 두꺼워지고 피부주름이 뚜렷해집니다.(태선화)

아토피피부염의 환경관리
- 실내온도는 18~21°C, 습도는 40~60%로 유지하기
- 순면소재의 옷 입기
- 손톱 짧게 깎기
- 집안에서 애완동물 기르지 않기

아토피피부염의 피부관리
- 목욕은 하루에 한번, 미지근한 물에 15분 이내로, 통목욕하기
- 물은 너무 뜨겁지 않은 미지근한 정도(32~34°C)로 사용
- 비누목욕은 약산성비누로 2~3일에 한번, 때밀기는 금기
- 보습제(로션)는 목욕 후 3분 이내, 하루에 3번 이상 바르기

천식의 예방관리
- 금연하시고 담배 피는 옆에도 가지 않습니다.
- 운동과 사회활동에 적극 참여 합니다.
- 정상 체중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 감기나 독감예방 위하여 손씻기를 잘 하도록 합니다.
- 실내는 깨끗이 청소하고 청결히 유지합니다.
- 공해나 황사가 심한 날은 외출을 삼가거나 방진마스크를 착용합니다.
- 천식발작에 대비한 약물을 항상 소지하고 정확한 사용법을 익혀 두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