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사는 호흡기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사항을 숙지하시어 황사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합시다.
- TV, 라디오, 인터넷 등에서 황사가 예보된 때에는 최대한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주변의 독거노인 등 건강이 염려되는 분들의 안부를 살펴봅니다.
- 황사가 지나간 후 실내, 외 청소를 실시하고 먼지를 제거합니다. 학교 등에서는 민감자(어린이, 노인 등)을 귀가 조치하고 축사, 시설원에 시설은 소독을 실시합니다.
황사 발생전(사전준비)
일반가정에서는
-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을 점검합니다.
- 실내 공기정화기, 가습기 등을 준비합니다.
- 외출 시에 필요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 등을 준비합니다.
- 포장되지 않은 식품은 오염되지 않도록 위생용기 등에 넣습니다.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는
- 기상청에서 발표한 기상예보를 분석하여 지역실정에 맞게 휴업 또는 단축수업을 신중히 검토합니다.
- 학생들의 비상연락망을 점검, 연락체계를 유지해주시고, 휴업 조치 시 맞벌이 부부 자녀에 대해서는 학교에서 자율학습을 하도록 합니다.
-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황사 피해예방 행동요령을 지도, 홍보 합니다.
축사, 시설원예 장소에서는
- 운동장 및 방목장에 있는 가축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 노지에 방치, 야적된 사료용 볏짚 등을 덮을 피복물을 준비합니다.
- 동력 분무기 등 황사세척용 장비를 점검합니다.
-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점검합니다.
※ 제조업체 등 사업장에서는 자재 및 생산제품의 야적을 억제하고, 어쩔 수 없는 경우 포장을 덮습니다.
황사 발생시
일반 가정 및 식품취급 장소에서는
- 가능한 한 외출을 삼가시고 외출 시에는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을 착용하시며 귀가 후에는 손발 등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을 합니다.
- 황사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고 공기정화기와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합니다.
- 황사에 노출된 채소, 과일, 생선 등 농수산물은 충분히 세척 후 요리합니다.
-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품가공 · 조리 시 손을 철저히 씻고 조리도구, 기구 등이 오염되지 않도록 관리하며 주변환경을 청결히 합니다.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는
-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의 실외활동을 금지하고 수업단축 또는 휴업하셔야 합니다.
※ 실외학습, 운동경기 등을 중지하거나 연기합니다.
축사, 시설원예 장소에서는
- 운동장이나 방목장에 있는 가축은 축사 안으로 신속히 대피시켜 황사에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 축사의 출입문과 창문을 닫아 황사 유입을 최소화하고 외부의 공기와 접촉을 가능한 적게 합니다.
- 노지에 방치 · 야적된 사료용 건초, 볏짚 등을 비닐이나 천막으로 덮으시고,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닫습니다.
※ 제조업체 등 사업장에서는 불량률 증가, 기계 고장 등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일정 조정 · 상품포장 · 청결상태유지에 유의합니다.
황사가 지나간 후
일반 가정 및 식품취급 장소에서는
-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줍니다.
- 황사에 노출되어 오염된 물품은 충분히 세척 후 사용합니다.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는
- 학교의 실내, 외를 청소하여 먼지를 제거합니다.
- 학생들의 건강을 살펴서 감기, 안질환자 등은 쉬게 하거나 일찍 귀가 시킵니다.
- 황사 후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하거나 식당 등에 대한 소독을 실시합니다.
축사, 시설원예 장소에서는
- 비닐하우스, 축사 등 시설물, 방목장 사료조, 가축과 접촉되는 기구류 등은 세척하거나 소독을 실시합니다.
- 황사에 노출된 가축의 몸에 묻은 황사를 털어낸 후 소독해 줍니다.
- 황사가 끝난 후 2주일 정도 질병의 발생유무를 관찰합니다.
- 구제역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 가축이 발견되면 즉시 신고합니다.